느헤미야 선교훈련의 소개 및 커리큘럼을 보실수 있습니다.
느헤미야 선교훈련 소개
느헤미야 스쿨은 캔2과정수료자들이 예비선교사로서 실전을 준비하는 마인드로 현지와 현지인과 사역에 대해 직접 연구하고, 계획해 볼 수 있도록 돕는 선교교육 프로그램입니다. 소그룹의 인원으로 구성되며 관심지역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토론을 통한 논문이나 사역계획을 세워보는 것을 훈련합니다.
느헤미야 선교훈련의 목표
- 선교전략 및 선교지 연구를 시행함으로 선교지에 대해 이론적으로 무장한다.
– HOPE에서 Target으로 하는 창의적 접근 지역이나 족속에 대하여 study및 여행을 통한 구체적인 이해를 한다.
– 창의적 접근 지역에 필요한 선교 전략을 수립한다.
- Bonding
(Member 끼리, HOPE Structure 내에서 HOPE 전체를 볼 수 있는 눈을 기른다)
– HOPE의 선교 전략및 선교 행정을 이해하고 이에 구체적으로 참여한다.
– 팀원 및 HOPE staff과 깊이 있는 fellowship을 형성한다.
- 투명한 교제를 통해 자신의 건강치 못한 부분을 발견하고 고친다.
– 자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서 하나님이 쓰시기에 합당한 군사로 준비한다.
- 이런 교육을 통해
– 선교지에 대한 전략적 그림을 미리 그려보고
– HOPE Membership을 강화함으로서 선교행정을 이해하고,
– 동역자 의식을 갖고, 전체의 관점에서 그림을 그릴 줄 알며,
– 문제점을 미리 예방하고, 건강한 선교사 (좋은 인간관계, 복음전도자, 하나님을 사랑하는 훈련된 일꾼)가 될 수 있게 한다.
느헤미야 선교훈련 방법
- 창의적 접근 지역에 대한 기존의 선교 및 사회과학 자료를 study한다.
– 선교지 개요(대략적 소개 – 국가, 족속) 지도, 자연지리 및 기후, 인구와 언어 (민족 구성 (족속/위치/인구), 정치와 경제, 종교와 문화, 선교상황과 기도제목 관련 내용이 수록된 신문, 잡지를 scrap하고 TV 방송을 녹화한다.
- 현지 선교사(안식년) 또는 관련 전문가를 초빙하여 강의를 듣는다.
– 타선교단체의 선교전략을 파악한다.
– 선교전략(입국전략/사역전략), Camp Joshua등에 참여하여 선교지 research방법을 습득한다.
– 현지의 선교사님이 있는 지역으로 선교 여행 및 단기선교를 한다
- HOPE의 선교 전략에 대하여 본부장, 총무의 강의를 듣는다.
– HOPE의 선교 행정(HOPE지 발송, compter, 통신, 전화받기, 각종 세미나 참여 및 지원 등)을 돕는다.
– HOPE Structure 체계 세우기(CAN SCHOOL 운영 및 선교 후보자 발굴/개발, 동원 전략)
느헤미야 선교훈련 커리큘럼
- 기 간 : 6개월간
- 교 재 : Target 지역의 선교역사, 교회 상황, 역사, 문화, 정치, 종교, 사상 등에 대하여 최소한 12권(2주에 1권)이상의 책을 읽고 report를 제출한다.
- 수업 방법 : 대학원 세미나식 발표 및 질의 응답
OBJECTIVES | GOAL | STANDARD |
---|---|---|
STUDY
선교전략 및 |
지역연구 | 1.1 target 지역이나 족속에 대한 일반적인 개관 공부 (세미나식 발표 및 질의 응답으로 모임인도) -선교역사, 교회, 역사, 문화, 정치, 종교, 사상, 경제 |
1.2 신문, 잡지를 스크랩하고 TV 방송을 녹화 | ||
1.3 관련서적을 정해 읽는다. | ||
1.4 논문계획서 제출 후 논문 제출 | ||
선교 현장 체험 |
2.1 선교사나 관련 전문가를 초빙하여 강의 | |
2.2 세미나 참석 | ||
2.3 국내거주 외국인과의 만남 | ||
2.4 현지로의 정탐 여행 | ||
2.5 관심지역 문화 체험(음식 체험, 모스크 방문 등) | ||
BONDING
HOPE 전체를 볼 수 |
HOPE 선교전략 이해 |
1.1 정탐 여행시 본부 방문하여 강의를 들음 |
HOPE 행정 이해 |
2.1 행정에 참여 -발송, 기도편지 관리, 홈페이지 및 게시판 관리, 차량지원 등 |
|
2.2 HOPE Structure 체계 세우기 – can school & 기도회(과제, 도서, 테입 관리, 문서작성, 간식, 데코, 강사접대, 리더, 잔양인도자, 사진촬영) – 선교후보자 발굴, 개발, 동원, 홍보 (팜플렛이나 영상제작, 홍보전략 세우기 등) |
||
스텝과의 Fellowship |
3.1 훈련 전 서류 제출 | |
3.2 리더모임 | ||
3.3 게시판을 활용해 나눔과 모임의 보고 | ||
TEAMBUILDING
투명한 교제를 |
정금같은 훈련 |
1.1 매주 1회 모임을 원칙으로 한다. |
1.2 신문, 잡지를 스크랩하고 TV 방송을 녹화 | ||
1.3 관련서적을 정해 읽는다. | ||
1.4 논문계획서 제출 후 논문 제출 | ||
1.5 “열방을 향하여”의 개인행동계획표를 통한 관리 | ||
자신에 대한 이해 |
2.1 관련 도서를 추천 -자기관리, 자아상, 리더십 등 |
|
2.2 NINE GRAM 검사, 인성 검사를 실시한다. | ||
2.3 자기평가서를 작성 한다. | ||
팀원과의 Fellowship | 3.1 최소한 2회의 조별 교제의 시간을 갖는다. | |
3.2 팀내 역할을 나눠 담당한다. -리더, 서기, 자료담당, 연락담당 등 |
느헤미야 선교훈련 수칙
- 신청서, 자기진단서, 서약서 및 훈련비를 제출한다.
- 논문 연구 주제는 자유롭게 정하되 완성된 논문은 수료식 2주전에 제출해야 한다.
- 훈련기간 내에 필독서 2권을 정해서 읽고, 독서과제로 감상문을 제출한다.
- 매주 1회 모임을 원칙으로 하며, 매주 팀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.
- 개인보고서는 매주 1회 작성하며, 리더에게 제출한다. 리더는 리더모임에 참석해 팀원들의 서류를 제출한다.
- HOPE 게시판을 통해 개인의 삶과 훈련상황을 나눈다.
- 필요한 강의가 있을시 스탭과 상의하여 강의일정을 잡도록 한다.
수료조건
- 성실하고 적극적으로 임하는 자세
- 출석률 (부득이한 결석 시 Report 제출로 대체)
- 필독서 완독 및 독서 과제 제출
- 논문제출.
- 서류제출 및 회비 완납